교육부, ‘모두를 위한 AI 인재양성 방안’ 발표…“초등부터 평생까지 AI 기본역량 강화”

이광수 기자

등록 2025-11-11 14:05

교육부가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대비해 전 국민이 생애 전 주기적으로 AI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재양성 방안(AI for All)’을 10일 발표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11월 10일(월)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고, 국민 모두의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지원하기 위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재양성 방안(AI for All)'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인공지능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한 가운데, 초등부터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누구도 뒤처지지 않는 보편적 AI 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혁신·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종합 전략이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AI 3강 국가 도약”을 뒷받침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방안의 핵심 목표는 ▲국민 모두를 위한 AI 보편교육 강화 ▲혁신·융합형 AI 전문인재 양성 ▲지역 균형형 인재 생태계 조성 ▲산학협력형 AI 인재 모델 활성화 등 네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초·중등 교육에서는 교과 내 AI 학습 시간을 확대하고, 2028년까지 전국 2,000개 인공지능 중점학교를 지정해 동아리·체험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사대 과정에도 AI 교육과정을 도입해 예비교원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교육위원회와 협력해 AI 교육과정 체계화를 추진한다.


고등·대학 단계에서는 전공 구분 없이 AI 교양 및 융합과목을 확대하고, 2026년까지 30개 대학에 AI 윤리·리터러시 교과를 신설한다. 직장인과 성인 학습자를 위한 재직자 중심 ‘AID(AI+Digital) 집중과정’도 2026년까지 38교로 확대되며, 케이무크(K-MOOC)·사이버대 등을 통한 평생학습 지원이 강화된다.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2026년까지 3개 교육청에 ‘AI 교육지원센터’를 시범 설치하고 2028년까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 확대한다. 거점국립대는 ‘지역 AI 거점대학’으로 육성돼 인프라와 GPU 등 연구 기반을 확보하며, 지역 중심 AI 부트캠프와 글로컬랩(지역 연구소)도 확대된다.


AI 우수 인재 조기 육성을 위해 과학고·영재학교의 AI 특화 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에서는 학·석·박사 통합 ‘패스트 트랙’을 도입해 5.5년 내 박사학위 취득이 가능하도록 제도화한다. 또 이공계 우수 학부생에게 연 2,000만 원의 장려금을 지원하고, 박사후연구원 제도 및 국가석좌교수제 도입도 검토한다.


산업계와 연계한 실무형 인재 육성도 강화된다. AI 특화 마이스터고를 신설하고, 2030년까지 특성화고 500개교에 AI 교과목을 도입한다. 기업-대학 협약을 통한 계약학과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산업 현장 연구성과를 학위로 인정하는 ‘산업학위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AI 인재양성은 국가의 생존 전략”이라며 “모든 국민이 일상 속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생애주기별 AI 교육을 지원하고, 산업·학문 전반의 인재양성을 통해 AX(에이엑스)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AI 대전환은 정부 전체의 협력 과제인 만큼, 부처 간 협업과 현장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광수

이광수

기자

일간환경
등록번호서울, 아02796
등록일자2013-07-30
오픈일자2013-07-30
발행일자2025-01-01
발행인이 승
편집인이 승
연락처070)4639-5359
FAX070)4325-5030
이메일help@dadamedia.net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문래동3가) 4동 502호
(주)지브린

일간환경 © 일간환경 All rights reserved.

일간환경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